반응형

재테크해서 집사자 3

주식용어 정리 : PER PBR ROE 쉽게 공부하자

안녕하세요오늘은 주식용어에 대해 정리해볼게요👱‍♀️사실 저도 기업분석과는 거리가 멀지만주식투자는 종종 하고있답니다그럼 하나씩 살펴볼게요 PER = Price to Earnings Ratio = 주가수익비율 기업 주식의 현재 가격을 기반으로 한 이익에 대한 평가 지표기업의 주가를 그 주당 이익으로 나눈 비율PER = 주가 / 1주당 당기순이익 그 기업의 수입 대비 주가가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있으며1주의 가격이 기업 이익의 몇 배인지 계산한 것이다.PER이 낮으면 기업가치보다 주가가 싸고PER이 높으면 기업가치보다 주가가 비싸다. PER이 낮은 기업만 골라서 투자하는 투자자도있다.하지만 개별 기업에 적용하기에는 위험할수도 있다.PER이 낮다면 회사에 문제가있어서 주가가 내려갔을 가능성도 있고회사의 성장가..

대출규제조건 용어정리 : DSR DTI LTV 그리고 대출받을때 꿀팁

안녕하세요오늘은 대출규제 조건 용어들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 말이 그 말 같고 비슷한데 다른 게 너무 많죠? 저도 요번에 헷갈리는 것들이 싹 정리가 됐어요. 그럼 공부 시작해 볼게요 LTV DTI DSR 먼저 대출 규제는 왜 하는 걸까요? 필요한 만큼 대출해 주면 은행도 돈 벌고 빌리는 사람도 만족스러울 텐데 규제를 해서 내가 원하는 만큼 대출을 못 받게 되고 원하는 집이나 상품을 못 사게 되잖아요 그 이유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돈을 빌려서 갚기 힘든 상황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대출금리에 대해서도 잠깐 살펴볼게요. 대출금리를 내리면 사람들이 대출을 많이 받게 되고 주택 구입을 많이 하고 매매가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다 현금으로 구매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가계부채가 증가합니다. 가계부채..

분양권투자란 무엇일까? 분양권 투자의 장점과 단점

안녕하세요오늘은 분양권투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양권의 정의 분양권은 신규 아파트나 상업용 건물의 분양을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건설 중인 건물의 소유권이 아닌, 해당 건물이 완공된 후 정해진 가격으로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분양권을 가진 사람은 건물 완공 후 일정 기간 내에 소유권을 이전받을 수 있습니다. 👉  분양권 투자의 장점 1. 가격 상승의 기회분양권의 가격은 보통 분양가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될 수 있습니다.특히, 지역의 부동산 시장이 활황일 때는 분양권의 프리미엄이 커질 수 있습니다.   보통 분양권을 매수하는 시점은 아파트가 완공되기 2~3년 전입니다.예를 들어 분양권을 5억에 샀고 3년 뒤 입주시기에 부동산시세가 8억이라면내가 산 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

반응형